섣달 그믐날은 음력 12월 마지막 날로 제석(除夕) 혹은 제야(除夜)라고도 한다. 섣달은 한 해를 다 보내면서 새해의 설을 맞이하기 위한 서웃달[설윗달]의 준말이다.
이 날은 한 해의 마지막 날이므로 새벽녘에 닭이 울 때까지 잠을 자지 않고 수세(守歲)를 하면서 새해를 맞이한다. 수세의 풍습은 송구영신(送舊迎新)의 의미로서 우리나라에 역법(曆法)이 들어온 이래 지속된 것으로 보인다. 수세는 지나간 시간을 반성하고 새해를 설계하는 통과 의례로 마지막 날은 끝이 아니라 새로운 시작이라는 생각에서 비롯한 것이다.
섣달 그믐날의 ‘그믐’은 만월의 보름달을 뜻하며 날마다 줄어들어 눈썹같이 가늘게 되다가 이윽고 모두 소진하여 없어진다는 순 우리말 ‘그믈다’의 명사형이다.
'설' 의 뜻
음력 1월 1일 정월 초하루를 '설날' 이라고 합니다.
'설' 은 "사린다, 사간다." 란 옛말에서 유래한 것으로 "삼가다, 조심하다." 의 뜻을 가지고 있으며,
"쇠다." 는
"몸가짐이나 언행을 조심하여 나쁜 기운을 쫓아낸다." 는 말이다.
즉 설날은 일년 내내 탈 없이 잘 지낼 수 있도록 행동을 조심하라는 깊은 뜻을 새기는 명절이다.
'설' 을 언제부터 쇠기 시작하였는지는 정확한 기록이 없어서 잘 알 수가 없지만, 중국의 사서에 있는 "신라 때 정월 초하루에 왕이 잔치를 베풀어 군신을 모아 회연하고 일월신(日月神)에게 배례했다." 는 내용으로 보아 상당히 역사가 오래된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구한말인 1895년에 양력이 채택되면서 그 빛이 바래기 시작했고 1985년 "민속의 날" 로 지정, 이후 설날 명칭을 되찾아 사흘간의 공휴일로 결정되어 오늘에 이르렀다.
아직도 예전에 불렀던게 입에 남아 구정(舊正)이라고 하는 이들이 있는데,
구정이란 이름 그대로 옛 '설' 이란 뜻이다.
구정은 일제가 한민족의 혼과 얼을 말살시키기 위해 신정(新正)이란 말을 만들며 생겨났다.
모두 일본식 한자어이며 설날이 바른 표현이다.
조선 총독부는 1936년 "조선의 향토오락" 이란 책을 펴 내 우리의 말, 글, 성과 이름까지 빼앗아 민족문화를 송두리째 흔들어 놓았고, 이 때부터 '설' 도 구정으로 격하해 우리 민족정신을 말살시키려 했다.
떡국은
희고 뽀얗게 새로이 태어나라고 만든 음식이다.
순백의 떡과 국물로 지난 해 묵은 때를 씻어 버리는 것이다.
즉 순백의 계절에 흰떡을 먹으며,
묵은 그림을 버리고
하얀 도화지에 한해의 새로운 그림을 그리는 것과 같은 의미이다.
묵은 때를 씻어버리고
설 잘 쇠시고 한해의 아름다운 그림을 새롭게 시작하십시요~!
지금쯤 정겨운 가족들과 오랜만에 만나 덕담들을 나누시고 계시겠지요.
아니면 코로나로 함께 하지는 못할지라도 마음만이라도 전하고 계시겠지요.
먼~ 옛날 이맘 때쯤 함박 눈이 펑펑 내리고,
쑥떡, 찰떡 만드느라
떡 메치는 소리가 쿵덕 쿵덕 온~ 동네가 시끄럽고,
집집마다 전부치는 냄새로 설 분위기를 달콤
하게 달구었던 시절.
그날은 먹지 않아도 배부르고 마음도 풍성했 습니다.
특히 부모님이 짚 꾸러미에 계란 싸서 장에 팔아 신발이며 설빔을 사다 주시면 그렇게 좋아 철없이 날뛰던 설 명절.
배고픈 시절 초가집 고드름이 눈물 뚝뚝 흘리며, 배고픈 아픔 위로 했던 고향 풍경이 그립습니다.
지금은 먼 훗날에 와 있지만 섣달 그믐날,
오늘따라 더~ 그립고 보고 싶네요.
비록 코로나로 얼굴 자주 보지 못하더라도,
지인들과의 정 잊지마시고,
새해에는 하시는 일마다 소원성취 하시고,
건강과 행운이 가득하시길 기원합니다.
그리고
새해 복많이 받으세요.
#섣달 #그믐날 #섣달그믐날 #설 #떡국 #새해인사